계약학과 참여기업 혜택
구분 | 세부혜택 | 설명 |
---|---|---|
맞춤형 인재 확보 | 조기 선발 & 교육 참여 | 기업이 채용 전 단계에서 학생을 미리 선발하고, 교과 과정 설계 및 실무교육에 직접 참여함으로써 실무 적응력이 높은 인재를 확보가능 |
인력 채용 비용 절감 | 인턴→정규직 연계 | 인재 선별·검증을 학과와 함께 진행하므로, 채용 공고/면접/신입직원 교육 등의 비용을 줄일 수 있음 |
산학과제 및 기술 협력 기회 확대 | 공동 프로젝트여 | 계약학과의 교육과정에서 실제 기업 과제를 수행하거나 제품 개발에 협력함으로써, 기술 및 콘텐츠 개발에 직접적인 도움 가능 |
정부 지원 혜택 간접 수혜 | 재정지원사업 참여 | 계약학과가 정부 재정지원(RISE 등)을 통해 운영되므로, 시설·장비·인건비 등이 보조되고, 기업은 이를 간접적으로 활용 가능 |
기업 홍보 및 사회적 책임강화 | 사회적 이미지 제고 | 청년 일자리 창출 및 지역사회 공헌 이미지 확보. 대학-지자체 언론 보도 등을 통해 기업 브랜드 제고효과 |
커스터마이징 교육 설계 | 실무역량 중심 교과 반영 | 기업 특화 기술이나 프로세스를 교과과정에 직접 반영하여, 자사 맞춤형 교육을 시행할 수 있음 |
장기적 R&D 인력풀 확보 | 대학 연구자원 접근 | 계약학과를 통해 해당 분야 교수진과 연결되어 기술 자문·공동연구(R&D)로 확장 가능 |
글로벌프로그램 참여 지원 | 글로벌시장 진출 발판마련 | 재 한서대학교에서 매년(2020년~2025년)참가하고 있는 CES에 참여하여 글로벌시장 진출의 발판을 마련 |
산학공동프로젝트 지원 | 대학 예산 또는 대학교원 지원과제 참여 | 한서대학교 교원이 진행하는 산학공동기술개발과제 참여 |
대학 인프라 활용 | 시제품제작, 공간·장비 지원 | 대학의 실습공간 및 고가(CNC, 3D프린터, 시뮬레이터, 촬영, 인쇄 장비 등)의 장비를 활용 |
산학연구 및 기술 자문 지원 | 교수진과 공동 연구 기획 | 교수진이 참여하는 기술개발, 브랜딩 전략 수립, 제품 고도화 등 분야별 기술 자문 및 R&D 프로젝트 공동참여 기회 제공 |